국내 자동차 화재, 1000대 1대꼴로 발생한다? 화재 이유와 예방법
본문 바로가기
수송/자동차

국내 자동차 화재, 1000대 1대꼴로 발생한다? 화재 이유와 예방법

by 깨알석사 2016. 6. 28.
728x90
반응형

카톡쇼에서 자동차 화재 주제를 다뤘다. 뉴스에서 가끔 자동차에 불이 나는 장면을 보기는 했지만 일반적으로 자동차 교통사고는 많아도 화재사고는 많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카톡쇼에서 제공한 통계를 보니 그것도 완전 착각이었다. 1만대 당 1대 꼴도 아니고 1천대 당 1대 꼴로 자동차 화재가 발생한다고 하니..엄청나다. 

100대 당 1대가 불이 난다고 하면 거의 도로가 불바다 수준일테고 1000대 당 1대꼴도 만만치 않은 숫자다. 하긴 자동차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인화성 물질인 기름을 연료로 쓰고 있고 높은 온도의 엔진이 핵심 부품인데 그 엔진이라는 것도 4행정 중 흡입, 압축, "폭발", 배기라는 과정을 거치는 장치이다 보니 불이 난다면 큰 화재로 이어질 확률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미세한 연료 누출이라도 발생한다면 불 붙는 건 순식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화재가 발생하는 건 승합차와 트럭, 화재 신고건수에 잡힌 불명예 차종은 스타렉스와 포터(현대1톤), 봉고(기아1톤), 차량의 결함이나 문제라기 보다는 차종 자체가 화재 발생과 연관이 큰데 화물에서 불이 나거나 (인화성 물질을 운반하는 경우도 포함) 담배불에 의한 실화 등 (담배꽁초의 잔불이 화물칸 짐으로 옮겨 붙는 경우) 화재 발생 조건이 높다보니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비록 자동차 모델에서는 가장 많이 불이 나는 불명예 차종이지만 따지고 보면 거의 운전자의 과실이나 화물에 의한 화재로 차종이나 모델하고는 상관이 없고 자동차 화재는 메이커 전체의 공통된 문제라고 봐야 한다. 

실제로 요즘 뉴스에 주로 등장하는 자동차 화재는 외국 고급모델이 꽤 차지하고 있다.

카톡쇼에서도 자동차 화재 피해자 인터뷰가 나오는데 그 차주도 외제차 소유주였다.

자동차 화재만으로 1년에 소방차가 출동하는 건수가 5200건 !!!! 한달에 4천건 이상 출동한다는 말

주택 화재와 달리 자동차는 제조 회사의 메이커 브랜드 이미지 때문인지 접하기 어렵다. 실제로 자동차 화재 소식은 뉴스에서 흔하게 보는 건 아니다. 하루에 평균 14건, 1년에 5천건 이상 자동차에 불이 나는데 뉴스는 한달에 한 건 나올까? 아마도 순수한 화재가 아닌 교통사고와 범위가 겹쳐 단순 사고로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하루에 수백건이 나는 교통사고를 비중있게 매일 다루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여진다.

작년에만 발생한 자동차 화재 총 발생 현황에서 현대가 가장 높다. 이건 당연히 분별해서 봐야 한다. 국내 1위이면서 독보적인 자동차 회사이고 점유율이 높다. 점유율이 높은 만큼 전체 화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올 수 밖에 없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작년 국내 화재 발생 점유율은 전체에서 62% 내외, 두 회사의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이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점유율만 가지고 보면 현대와 기아가 많다고도 볼 수 없다. 국내 자동차 점유율만 놓고 보면 현대/기아가 오히려 상대적으로 더 발생 건 수가 낮다고도 볼 수 있다

점유율이 낮은 타사 차량들과 점유 부분을 가지고 화재 발생 건 수를 비교한다면 결국 석기자 말대로 이유불문, 가격불문, 브랜드 불문 모든 차종과 모든 자동차 메이커에서 다 고르게 발생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모든 자동차 메이커와 브랜드가 0.2~0.3% 비율로 발생)

오히려 언론보도에서는 외제차 화재 관련 뉴스가 더 많은데 이건 외제차에 불이?? 수퍼카에 불이?? 기사 주목도가 높고 화제성이 높아 더 중점적으로 다루고 보도하는 것일 뿐 국내외 메이케 따질 필요없이 전반적으로 화재 발생 비율은 비슷하다고 한다.

국내에서 화재 발생이 가장 많다고 신고 접수된 차량들, 이유는 상용차이기 때문, 말 그대로 사업용 차량들이라 인화성 물질, 화물에 의한 화재, 화물칸에 생긴 불로 인한 차량 전소 등이 원인이라 일반적인 사례는 아니다.

이렇게 예고 없이 찾아오는 자동차 화재, 그 이유와 예방법은 없을까? 자가정비에 관심이 있고 자동차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알고 있는 박병일 자동차 명장이 이유와 예방법을 알려준다.

박병일 명장이 말하는 자동차 화재 발생 원인 첫번째는 "지저분한 엔진룸" 이건 당연하다. 주택 전기화재에서도 항상 하는 말이 전선과 전기장치 주변의 "먼지", 그것과 똑같다. 엔진룸에 먼지와 기름이 잔뜩 묻어 있으면 엔진 외부에 작은 불꽃이라도 생길 시 불이 날 확률이 존재하는 건 당연하다. 주택화재의 먼지가 위험하다고 홍보하고 전기장치 주변을 깨끗하게 하라고 권고하는 것처럼 엔진룸 세척은 필수다.

그래서 예전부터 카센터에서 서비스 좋은 곳은 엔진 세척 같은 곳을 해주는 곳이 많다. 본인이 직접 해도 좋지만 제대로 하지 못할 것 같으면 동네 카센터에 부탁해도 저렴하게 해준다. (오일 갈고 할 때 하면 공짜로도 해준다), 셀프 세차장이나 주유소/충전소에 가면 에어가 있는데 엔진룸을 열고 엔진안으로 공기(에어)를 쏴서 먼지를 날려주고 지저분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도 좋고 아니면 전문 카센터에 가서 엔진 세척 따로 해달라고 하면 에어건에 기름 살짝 연결해서 깔끔하게 불어준다. (반들반들) 나는 주로 카센터에서 엔진 오일 교환 및 휠터 교환 시 함께 하는데 따로 부탁할 필요없이 원래 마무리로 그런 서비스를 해주는 동네 카센터가 있어 그곳을 애용 중이다.

물걸레(짜고 나서)로 본인이 해도 상관없다. 엔진룸에 물 닿으면 안된다고 오해하는데 크게 상관없다. 나는 주말에 올 세차 할 때 엔진 내부도 걸레로 싹 닦아주는데 생각보다 먼지가 많고 낙엽도 꽤 많이 들어있다. 간혹 거미줄도 있는데 그만큼 소홀히 하면 그만큼 위험하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박병일 명장이 말하는 자동차 화재 원인 두번째는 배선 노후 및 개조, 자동차 전기 화재다. 자동차 전기 화재가 더 무섭다고 명장도 말씀을 하시는데 백퍼 공감한다. 자동차에는 수많은 배선과 전기 장치가 있다. 이게 멀쩡해 보여도 노후가 되고 노후가 되면 오류가 생긴다. 오류가 생기면 고장이 잦거나 화재 위험성이 있다. 내 첫 차가 중고차였는데 한번 경험한 적이 있다. 다행히 불꽃이 살짝 나고 연기만 많이 난 상태라서 큰 일은 없었지만 진단 결과 노후 배선으로 인한 합선이었다. 차량의 배선을 모두 교체해야 한다는 말에 배선 교체를 했었다. 

자동차 튜닝 하는 분 중에는 이런 배선을 싹 교체하는 분들도 많다. 배선도 노후되며 교체해야 하는 건 당연, 물론 화재와 상관없이 배선 자체도 자동차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여러모로 관심을 두고 있어야 하는게 배선이다.

전기 화재에서 또 다른 원인은 개조, 차량에 튜닝을 할 때 원래 배선외 다른 전선을 추가하거나 이어 붙이는 경우가 많다. 최고의 실력자가 배선 작업을 했다고 해도 원래 출고된 자동차와 동일하게 맞추는 건 어렵다. 되도록이면 건드리지 않고 그냥 쓰는게 좋지만 배선 작업까지 튜닝할거면 제대로 된 업체에서 공신력 있는 기술자에게 받아야 한다.

검은색의 주 배선말고 여러가지 가닥으로 얽혀있는 개조 배선들, 화재 위험성이 높은 건 사실이다. 나도 배터리와 기타 장치에 배선 연결을 추가 한 적이 있는데 쇼트가 난 뒤로(퓨즈도 터짐) 다 제거했다. 쇼트 안 났으면 화재는 100%

박병일 명장이 말하는 자동차 화재 원인 세번째는 배출가스 저감 장치의 위치 변화, 뒷쪽에 있으면 배출되는 매연의 농도가 높아 기준치를 넘길 상황이 존재할 수 있어 자동차 메이커에서 앞쪽 본넷트 라인으로 저감장치를 옮겼다는 것이다. 자동차는 첫 시동을 할 때 실린더 내부의 압력과 농도가 주행시와 다르다. 시동 구간의 매연과 주행 구간의 매연이 다른데 초기 시동시에는 배기가스 농도가 짙게 나올 수 밖에 없다. 결국 매연 농도가 적게 나오도록 뒷쪽까지 가는 동안 농도가 떨어지게 노린 구성인데 오히려 굉장히 뜨거운 장치가 엔진룸 쪽에 함께 있다보니 화재 위험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이런 고온의 장치 주변에 오일 및 연료가 누출되면 화재로 연결될 수 있다.

박병일 명인이 말하는 자동차 화재 네번째 원인은 연료 라인, 지금 나오는 차량의 연료 호스는 강화 플라스틱이라고 한다. (쇠 아니었어?? 나도 한 물 갔구나 ㅠ..ㅠ) 강화 플라스틱이기는 해도 깨지거나 파손 될 위험이 있는 것도 사실, 더군다나 연료 주입구가 대부분 뒷좌석 바퀴쪽에 있고 엔진은 앞쪽에 있기 때문에 기름통에서 엔진까지 오는 파이프 라인의 파손은 화재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 캐빈룸(객실)이 아닌 차량 바닥으로 파이프 라인이 지나가는 만큼 하부 충격에 의한 파손 확률이 있고 연료 누출 시 불이 붙기 쉽다.

배선 부분을 설명할 때 자동차 전기화재가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작년 차량 화재 원인 현황을 보더라도 교통사고나 담배 등의 부주의 실화에 의한 화재는 얼마 없고 전기요인과 기계요인이 대부분이다. 부속품의 고장 원인으로 인한 화재와 전기 배선에 의한 화재가 대부분이라고 봐야 한다. 엔진룸을 세척할 때 배선 연결 부위와 상태도 점검해야 하는 이유고 배선도 걸레로 한번씩 닦아주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자동차에서 화재 발생 초기시 연기부터 나기 마련인데 무작정 보닛(본넷)부터 열면 안된다. 대부분의 자동차 화재 피해자들은 손에 화상을 많이 입는데 무턱대고 본넷트를 열다가 뜨거운 열기에 의한 손가락 화상이 많다. 보닛 겉면에 손을 먼저 대보고 어느정도 열기가 있는지 확인 한 다음에 열어야 하며 무조건 온도 확인 없이 열다가는 손가락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도 명심하자.

또한 연기가 아닌 불꽃이 감지되고 불의 진행 상태가 어느정도 보인다면 화재 진압을 포기하고 주변 사람들과 함께 멀리 대피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자동차 화재는 속도가 빠르고 인화물질이 많으며 배선 등에 의한 불꽃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불을 보자마자 소화기로 진화하지 못할 바에는 무조건 피하고 보는게 상책이다.

원인 불명의 화재 사고가 많은데 외제차 메이커인 B사는 공식 서비스 센터에서 정기적으로 A/S를 받던 차량이 원인 불명의 화재 발생이 생기면 중고차 잔존가치 기준으로 현금 보상을 실시하는 제도를 선보여 화제가 되었다. 물론 일반 정비소나 타사 서비스를 받지 않고 공식 서비스 센터에서만 정비를 받았던 차량에 한정된 사례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자동차 원인 불명 화재에 대한 제조회사의 대책이 절실하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