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 그 많던 명태는 다 어디로 갔나 편에 나온 명태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산업/농수축산

1박2일 - 그 많던 명태는 다 어디로 갔나 편에 나온 명태 이야기

by 깨알석사 2015. 2. 1.
728x90
반응형

 

 

 

명태는 다양한 이름을 가진 생선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생선 이름중에서 그 생선이 원래 명태였어? 라고 반문할 정도로 모르는 사람도 꽤 있다.

명태는 대구의 사촌으로 명태잡이가 어려운 지금은 생태탕/동태탕 식당이 대구탕/대구찜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는데 명태 대용으로 대구가 적합하기 때문~

 

 

 

북어 : 명태의 원래 이름으로 북쪽에서 오는 생선이라는 뜻으로 지금도 북어는 차가운 바다 (러시아 근방) 에 많이 서식한다.

         명태를 건조시켜 말린 것이 북어다.

 

 

생태 : 명태의 신선한 상태, 명태를 갓 잡았을 때 살아있는 상태

 

 

황태 : 덕장에서 눈과 비, 바람을 맞아가며 따뜻한 날(낮)과 추운 날(밤)을 왔다갔다 하면서 황금빛으로 건조된다. 황금빛이 나서 황태다

 

 

먹태 : 따뜻한 날 겉만 건조시키고 안쪽은 꾸덕하게 말린 것을 말하는데 황태와 달리 겉면이 어둑어둑 검게 나와서 먹태다

 

 

동태 : 명태를 냉동으로 얼린 상태(찌개용)

 

 

노가리 : 명태의 새끼 (안주용)

 

 

코다리 : 명태를 반건조 시킨 것, 딱딱하게 완전 말리는 것이 아니라 꾸덕꾸덕하게 반만 말린 것으로 명태 생김새 그대로 보존된 상태 (찜용)

 

 

백태 : 겉면이 하얗게 건조된 것으로 추운 날씨가 계속 되면 황태가 아닌 백태가 된다. - 추운날이 계속되어 황태가 못된 경우

 

 

찐태 : 겉면이 물러진 상태로 따뜻한 날씨가 계속 되면 황태가 아닌 찐태가 된다. - 따뜻한 날이 계속되어 황태가 못된 경우

 

 

깡태 : 돌덩이처럼 굳은 황태

 

 

낙태 : 덕장에서 말리는 와중에 떨어져 제대로 된 상품이 되지 못한 황태

 

 

명란 : 명태의 알

 

 

명태라는 이름의 유래가 조선시대 함경도 명천군을 방문한 관찰사가 맛을 보고 생선의 이름을 물어보자 생선 이름이 없다하여 명천군의 앞자 명과 어부의 성 태씨를 합쳐 명태라고 지었다고 하는데 어부에게 성씨가 있을리 없는 법, (조선시대에는 성씨를 가진 것 자체가 전체 인구의 약 20%도 안되고 신분 자체도 양반이기 때문에 어부의 성씨를 덧붙였다는 건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이미 1980년대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명태잡이가 시원치않을 정도로 급감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명태가 추운 물을 좋아하기 때문에 온난화 영향으로 우리 해역에서 잡히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추측일 뿐 신빙성이 높은 건 아니다. 대한민국은 4계절이 뚜렷하고 가을과 겨울 수온이 여전히 차갑기 때문에 4계절 내내 동남아 지역의 바닷물 수온을 가지고 있지 않는 이상 온난화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잡히지 않는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 1박2일에서는 수산물 퀴즈의 정답으로 명태가 사라진 이유가 물이 따뜻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을 정답이라고 했고 방송 내내 그런 뉘앙스만 전했지만 방송 말미에 등장한 연구원이 잠깐 언급한 "남획"이라는 부분이 여러 추측 중에서 가장 신빙성이 높다고 봐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간 200여 마리의 명태가 잡힌다고 하니 희귀종 취급을 해야 할 정도로 거의 보기 어려운 생선이다. 생태탕이나 동태탕 집에서 국산으로 표기하는 집 대부분은 원산지를 어겼을 가능성이 높다. 3년전 강원도 황태덕장 근방에서 황태 모듬을 먹을 기회가 있었는데 모든 황태는 국산이라고 표기되어 있더라. 강원도 황태덕장에 걸린 황태는 모두 러시아산이라는 걸 알고 있던 터라 웃어 넘기긴 했지만 농심(농어민)과 상심(상인의 상술)은 구분해야 할 것이다. 최근 아침방송에서 황태덕장 소개 프로그램이 한번 있었는데 명태는 러시아산이어도 황태는 강원도에서 가공한 국산이기 때문에 국산으로 나가야 하는데 수입산(러시아)으로 표기되어 제대로 된 대우를 못 받는다고 한탄하는 것을 보았다. 그런 관점이라면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가공"식품은 주재료와 상관없이 모두 국산으로만 표시되어야 한다. (유제품, 라면, 기타 식품 대부분은 주재료 원산지가 다 수입산이다). 러시아 명태를 몇달간 해풍에 말려 원산지를 국산 명태(황태)로 팔아야 한다는게 되려 정상적인 발상인지 의구심이 든다.

 

 

 

1박2일이 다루기 이전부터 사실 명태는 꽤 심각한 상태로 관련 방송이 줄기차게 나오고 있었다. 명태살리기 프로젝트가 별도로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명태는 아주 심각한 상황이다. 그 많던 생선 한종이 배가 출항해서 1번 잡는 양도 아니고 하루에 잡아들이는 명태수도 아닌 어민들이 모두 잡아도 1년에 200마리도 안잡히는 상황이라면 심각의 수준이 아니다.

 

 

 

 

 

 

 

 

대한민국에 공식적으로 살아있는 명태수는 단 3마리, 연구용으로 확보한 게 전부이다. 국민 생선 명태의 존재를 실감하는 상황

얼마전부터 동해지역에 명태 수배 전단이 붙여지기 시작했는데 어민들에게 명태를 잡게 되면 연구용으로 쓸수있게 일반 경매 어시장이 아닌 수산물 연구원으로 팔아달라는 내용이다. 명태가 우리 해역에서만 잡히지 않는 갑작스러운 일은 우리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고 봐야 한다. 다른 생선에 비해 다양한 먹거리로 즐기는 명태는 유독 알과 새끼를 잡아 먹는 품종이다. 1박 2일에서는 그와 관련해 전혀 언급이 없었지만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해서 그렇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명태를 먹는 양보다 노가리(명태새끼)를 잡아 먹는 양이 곱절로 많고 우리가 고급 젓갈로 인식하는 명란젓 역시 명태알로 담그는 것으로 이것이 일본에서 고급 음식으로 마찬가지로 대우를 받게 되어 소비량이 급증했다.

 

 

일본에서도 명란젓은 고급 음식인데, 최근에는 역수입 될 정도로 선물용으로도 대접 받는게 일본산 명란젓이다. 일본의 명란은 한국의 재일교포들에 의해 교민사회에서 퍼지다가 그 맛에 일본인들도 감탄하여 확산되었는데 일본은 명란젓 문화가 원래 없었고 들어온 것이 근대화 이후(일제시대)로 대한민국 사람들에 의해 알게 되어 먹기 시작했다.

 

 

생각을 해보자 소가 새끼를 여러마리 낳고 고기로 먹힌다면 그 개체수에 지장이 없다. 하지만 어미소보다 새끼소를 잡아 먹는 양이 더 많다면 개체수 자체가 줄어들게 되어 있다. 우리가 흔히 표현하는 "씨를 말린다"라는 표현처럼 씨가 되는 알(명란)과 새끼(노가리)를 다 자란 명태보다 수배로 더 많이 남획해서 잡아 먹었기 때문에 80년대 이후부터 급속도로 줄어들기 시작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우리는 물론 일본에서도 명태가 아닌 명란을 급속도로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그 속도는 더 빨라졌다고 봐야 한다. 연구원이 바닷가 해변에서 명태가 사라진 이유로 '온난화와 남획이 원인이라고 추정"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남획이라는 부분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들이 정말 씨를 말릴 양으로 잡아들였다고 봐야 한다.

 

 

러시아산이 99.99%인 상황에서 러시아산 명태의 자리도 사실 위험한 상황이다. 우리 해역에서 아예 사라질 정도로 씨가 말린 명태의 소비가 줄지 않고 계속 늘고 있는 상황에서 (명란젓과 노가리의 소비도 여전하다) 러시아산 명태도 수확량이 줄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러시아산 명태조차 어획량이 줄어서 수입량은 점점 줄고 수입단가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명태를 살리는 길은 하나다. 명란젓 소비를 줄이고 노가리를 먹지 말아야 한다. 국내 3마리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종 확보가 되어 수급이 된다해도 그런 소비가 여전하면 씨종이 늘어날 수가 없다. 지금처럼 연구소나 수족관에서만 볼 수 있게 될 뿐이다. 다 자란 명태는 먹어도 상관없지만 새끼는 놔줘야 하는 상황이 지금이다. 연구소 박사님도, 방송에서도, 관계자들도 식품산업, 젓갈산업 종사자, 명란젓과 노가리 산업과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때문에 대놓고 말을 안할 뿐이지 우리 모두를 위한다면 아예 먹지말자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상황은 심각하다. 명태 살리기에서조차 또 다른 욕심(식품산업/젓갈/노가리 등의 미성숙 명태 상품)을 부린다면 결국 나중에는 그 마저도 먹지 못하게 될 날이 반드시 오지 않을까 우려된다.

 

 

 

 

 

 

 

 

 

 

 

살아있는 명태를 연구소 수족관에서나 볼 수 있다는 것이 믿어지는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