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27 Page)
가족관계 호칭 (친가, 외가, 처가)
생활 속에서 자주 만나지 못 하는 다른 일가 친인척들은 호칭 사용을 잘 몰라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난감할 때가 있다. 이 때는 주위 어르신들이 부르도록 하는 호칭을 받아 쓰면 되는데 핵가족화 되고 친인척간 사이가 사촌 이상 벌어지면 왕래 하는 비율이 적어 어르신들조차 잘 모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오늘은 나(남편)를 기준으로 하는 처가 사람들의 호칭 나(부인)를 기준으로 하는 시댁 사람들의 호칭 나(자녀)를 기준으로 하는 친가, 외가 사람들의 호칭그리고 매형, 동서, 처남, 처형, 제수, 매제, 처제, 형부, 올케, 시누이, 도련님, 아주버님, 서방님, 제부, 매부 등 다양한 가족 호칭에 대한 정리를 해본다. 호칭 사용이 어려울 때나 잘 모를 때 관계도를 보고 확인~ [사회/사회이슈] - 전두환 전 대통령..
2014. 10. 7.
대사, 영사, 참사, 외교관, 외무공무원, 외교부 공무원의 보직 및 등급(급수)
외교통상부(외무공무원)은 일반 공무원과 달리 1~14개의 급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공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은 외교관, 국내에서 외교업무를 담당하는 외교부 직원은 외무공무원으로 나뉘어 부르기도 한다. 우리는 외교관하면 대사관, 공사관, 영사관을 먼저 생각하고 각 해당 공관의 장인 대사, 공사, 영사와 연결 짓는 경우가 많다. 외무공무원(외교관)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직급, 직책, 직위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고 다른 공무원(일반/경찰)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본다.[대사] 특명전권대사의 준말이며, 외교관 중 가장 높은 직급이다. 한 나라를 대표하여 다른 나라의 정상을 외교적 목적으로 만나거나 국제기관에 파견되는 직책을 맡는다. 특명전권대사란 말처럼 조약문 채택에 '동의'할 수 있다. 대사를 ..
2014.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