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호칭이었던 것이 억척스러운 가정 주부를 대변하는 말로 쓰이는 것이 아줌마다. 아주머니가 정식 명칭이지만 아줌마라는 말이 더 많이 쓰이는데 아저씨와 더불어 나이 든 남녀를 부르는 인칭 대명사로 쓰일 때가 많다. 항간에는 우리나라에서 조심해야 하는 것이 초딩과 아줌마라는 우스개 소리도 있었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초딩 군단 만큼이나 말빨과 풍부한 경험치로 무장한 아줌마와 붙으면 백전백패 당하기 때문이다.
주부의 다른 말로 쓰이기도 하고 결혼을 한 유뷰녀에게 쓰이기도 하지만 젊은 여자에게 아가씨 대신 아줌마라는 호칭을 쓴다면 부른 사람은 심각한 내상을 받을 수 있는 단어가 아줌마이기도 하다. 여기서 조금 더 고풍스럽게 나아가면 아줌마 대신 "여사(님)" 호칭으로 바뀌기도 하고 경제력이 있어 투자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부인"이라는 말을 덧붙여 복부인이라고 달리 부르기도 한다. 서구권에서는 "마담"이라는 말로 대용이 되기 때문에 우리도 아줌마 = 마담이라 할 순 있지만 한국에서의 마담은 술집 마담과 같이 술집 여주인을 뜻하는 단어 비중이 더 많기 때문에 마담이라는 표현은 거의 쓰지 않는다.
참고로 아주머니 (아줌마) 단어가 "아기 주머니"에서 "기"만 빠져 아(기)주머니가 되었다는 잘못된 해석이 종종 있는데 아주머니(아줌마), 아주버니(아저씨)의 "아주(앚)"는 직계가 아닌 방계를 뜻하는 단어로 친척에게 붙여 쓰는 가족 호칭에 뿌리를 두고 있다. 애초에 아주머니, 아저씨라는 말이 친척들 간의 가족 호칭이라는 점에서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는데 그 가족 간의 서열과 마찬가지로 방계 가족이라는 뜻 자체가 "아주(앚)"다. 그러니까 아주머니, 아주버니 말 자체가 방계 가족이라는 설명을 가진 단어인 것이다. 결국 아주머니의 뜻은 아 + 주머니가 아닌 아주 + 머니(어머니)다. 삼촌(외삼촌), 고모, 이모라는 단어들 자체가 4촌 이내 방계 가족들에게 붙여 쓰는 가족 호칭인데 그 보다 넓은 촌수의 사람은 때로는 남처럼 느껴질 수 있어 (촌수가 넓어지면 그 만큼 만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 촌수가 4촌 이상 벌어져 셈을 하기 어려운 경우 호칭 만으로 남이 아닌 내 방계(가족)라는 걸 확실히 인지 시키기 위해 붙여 쓰게 된 단어가 된다.
이런 아줌마와 관련해 우리 기업사에서는 억척스러운 아줌마 기질을 잘 활용한 사례가 있다. 시작은 그 억척스러움에 기반을 두었지만 예상 외로 꼼꼼함과 성실함, 주부로서의 (엄마로서의) 사고 방식이 영업에도 그대로 전수 되면서 기대 이상의 효과를 보게 된 것이다. 바로 오늘의 주제인 아모레 아줌마, 야쿠르트 아줌마, 정수기 아줌마다.
실제 해당 기업은 현재도 잘 나가는 대표 기업이며 여전히 그 아줌마들의 활동이 메인이 된다. 아모레는 아줌마 호칭 대신 이제는 카운셀러, 야쿠르트는 매니저, 코웨이 정수기는 코디라는 이름으로 다르게 부르지만 (부르도록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방판 사업을 하는 세 회사의 주부 사원은 아줌마라는 호칭과 엮어 쓰일 때가 많다. 물론 상대적으로 코웨이와 아모레는 젊은 남녀 직원 비율도 높아 아줌마 호칭 대신 회사가 새로 부여한 브랜드 네이밍 직책을 쓰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쿠르트의 경우에는 여전히 아줌마 부대로 방판 사업을 하고 있고 그게 주력이기 때문에 여전히 사람들은 야쿠르트 매니저라는 호칭보다는 야쿠르트 아줌마라고 부른다.
야쿠르트 아줌마 야쿠르트 주세요, 야쿠르트 없으면 요구르트 주세요~
아모레 화장품, 야쿠르트 음료, 정수기 가전은 아줌마를 대상으로 하는 아줌마가 잘 먹힌 케이스라 할 수 있는데 방문 판매라는 영업 활동에 가장 최적화 된 물건과 판매사원 구성(아줌마/주부)이 딱 맞아 떨어지면서 세 회사의 성장 발판에 큰 도움이 된다. 세 회사 모두 현재 국내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을 하였고 현재도 직판 뿐 아니라 방판 같은 영업을 병행하고 있는데 실상 아줌마 영업 부대가 없었으면 지금의 세 회사는 오늘 날의 모습을 갖추기 어려웠을 것이라 판단이 된다.
아줌마가 뭘 알아, 아줌마가 뭘 할 줄 알아, 하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고 그것이 사회 활동 중 영업과 맞물리면 비전문가로 낮춰 보기 쉬운 법인데 그럼에도 주부의 마음은 주부가 잘 안다는 포지션을 잘 활용한 것이 바로 이 세 회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잘 모르는 사람이 집에 찾아 오면 대문을 쉽게 열지 않던 어머니들도 아모레 아줌마의 방문이라면 무장 해제 되는 것이 바로 그렇다.
그렇다면 이들 세 회사 말고 주부 군단이 주로 활동하는 영역은 어떨까, 현재는 학습지, 보험 등에서 아줌마 군단을 쉽게 만나 볼 수 있다. 특히 보험 가입의 경우 절대적으로 세 회사와 비슷한 아줌마 군단 점유율을 보여주는데 정작 사람들의 인식에서는 보험업의 경우 세일러들이 프로 보다는 아마 느낌으로 다가오는 경우가 많다. 언급된 세 회사의 아줌마는 시작과 달리 이제는 전문가 (프로) 집단으로 안착이 된 반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보험 설계 쪽은 비전문가로 인식이 더 고착되는 방향으로 보험 아줌마에 대한 인식이 세 회사의 아줌마와 약간 다르다.
방판 사원 대부분이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 혹은 개인사업자 형태로 계약을 맺어 판매 수당 및 로열티를 가져가는 경우가 많은데 아모레 아줌마, 야쿠르트 아줌마, 정숙이(정수기) 아줌마는 그 해당 회사의 소속 내지 회사원으로 인식되는 반면 보험 아줌마는 프리랜서로 그 보험사를 대변하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적다. 보험이라는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지 그 보험 회사의 직원이라고 보는 비율이 적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고객 입장에서 전담자로서의 역할 기대치를 보더라도 아모레 아줌마는 항상 가도 그 아줌마가 있을 확률이 높고 야쿠르트 역시 우리 지역 담당은 특별한 일이 아니고서는 그 아줌마가 그대로 근무를 한다. 정숙이 아줌마 (정수기) 역시 지역 할당에 따라 고정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보험의 경우 막상 시간이 지나 내 보험 상담을 다시 하면 보험 아줌마가 퇴직해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정으로 꾸준히 근무하기 보다는 생업 때문에 단기간 근무하는 비율이 높다 보니 전문성을 갖춘 업종임에도 불구하고 아줌마 부대로서의 인지도는 많이 낮다. 학습지 분야 역시 마찬가지 (그나마 낫긴 하지만 또 하나 다른 점이 있긴 하다, 후술)
나는 아모레퍼시픽이라는 회사와 한국야쿠르트라는 회사, 그리고 웅진코웨이를 볼 때마다 "아줌마"를 연상한다. 아줌마라는 이름이 사회에서는 썩 좋은 느낌으로 쓰이지 않고 억척스럽고 사나운 느낌으로 많이 쓰이지만 그 것의 장점만 모아 잘 표현해 생업 전선에서 한 획을 그은 것이 바로 이 세 회사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세 회사는 우리나라 경제에도 큰 몫을 하고 있다. 앞서 보험과 학습지와 다른 점이 하나 더 있다고 했는데 이 세 회사의 아줌마들은 대부분 "유니폼"을 입고 근무를 한다. 아모레 아줌마는 매장이든 방판이든 아모레 직원이라는 걸 알 수 있는 화장품 판매 사원 복장을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야쿠르트 아줌마는 예외 없이 핑크색으로 단장한 귀여운 헬멧까지 쓰고 항상 근무를 하기 때문에 멀리서도 야쿠르트 아줌마 식별은 항상 가능하다, 엄마 친구 이름 같은 정숙이(정수기) 아줌마 역시 집에 방문할 때 사복을 입고 오는 경우는 없다. 예외 없이 코디 복장이다.
유니폼의 힘이라는 걸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소속감은 물론이고 무언가를 대변하는 역할, 더 나아가 자기 스스로 절제하고 단정하게 만드는 힘이 있는데 가만 보면 보험 아줌마와 학습지 아줌마는 그런 유니폼이 없다, 보험사가 보험 아줌마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만들고 세 회사처럼 확실한 전문가 집단으로 키우려 한다면 해당 보험사의 보험 판매사원 유니폼이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어릴 때 우리 어머니는 쥬단학(?) 아줌마였다. 지금처럼 보육 시설이 많지 않았던 당시에는 어머니가 가끔 날 데리고 방판을 하시곤 했다. 엄마의 마음은 엄마가 안다고 아이를 데리고 다녀도 고객들이 크게 불편해 하지 않았던 것 같다. (가끔 음료를 얻어 먹는 재미가 있었다), 어머니는 그 쥬단학 아줌마의 노력으로 우리 가족의 첫 집을 장만하셨다. 아모레 아줌마와 마찬가지로 넓고 큰 가방을 둘러 메고 화장품을 파셨더랬다. 과거에는 야쿠르트 아줌마도 아모레 아줌마처럼 넓고 큰 가방을 메고 야쿠르트를 팔았지만 지금은 어디를 가도 멋진 전동기에 서서 카트를 타고 다닌다. 첨단 산업 시대에 맞게 지금은 앱(어플)으로 야쿠르트 아줌마를 찾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앱에서 내 주위에 있는 야쿠르트 아줌마 조회가 가능하다!), 우리 집은 야쿠르트를 가정 배달로 먹고 있다. 정수기는 코웨이다. 우리 집도 따지고 보면 세 회사의 아줌마들과 다 연결된 셈이다.
억척스러워 보이지만 열심히 사는 모습이 좋아 보이는 건 바로 이 세 회사의 아줌마 사원들이다. 때로는 엄마 같고 때로는 이모 같고 때로는 사촌 누이 같다. 지금은 방판이라는 것이 다단계의 다른 말로 쓰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방판의 꽃, 방판의 끝판왕은 아모레 아줌마, 야쿠르트 아줌마, 정수기 아줌마다, 오버 같은 생각이지만 아줌마 없으면 이 세 회사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마저 드는데 아줌마 없는 아모레, 야쿠르트, 정수기는 앙꼬(팥) 없는 찐빵과 같다라 할까...
[문화예술/방송연예] - 뽕삘과 힐링의 대향연 트로트 오디션 - 내일은 미스트롯 (송가인, 김나희, 숙행)
[교육/전통역사] - 무궁화는 일본을 상징하는 일본 나라꽃이다? (Rose of Sharon)
[레져/관광여행] - 해외 첫 여행자와 초보 여행자가 알아두면 좋은 여행지 선택 기준
[수송/오토바이] - 싱가폴(싱가포르) 두가티녀 - vaune phan 싱가포르 빨간 망토 차차
[사랑/여인천하] -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 하마베 미나미 浜辺美波 Minami Hamabe 예쁜 모습들
'산업 > 노사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항공사의 비키니 항공 승무원 복장 이벤트 (0) | 2014.12.20 |
---|---|
국회의원의 고민 (0) | 2014.12.16 |
한국의 30대 재벌간 혼맥(혼사) 관계도 (0) | 2014.12.15 |
개념 알바녀 챙겨주는 개념 팀장님 (0) | 2014.12.15 |
스님에게 빗을 팔기 위한 영업 방법 (0) | 2014.12.02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화법 배우기 (0) | 2014.11.30 |
직업의 세계 - 여성 경호원 (0) | 2014.11.29 |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가계도 (0) | 2014.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