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가 알아두어야 할 내 여자의 히스테리
본문 바로가기
사랑/부부생활

남자가 알아두어야 할 내 여자의 히스테리

by 깨알석사 2014. 11. 29.
728x90
반응형

 

 

깨알박사의 성교육 시간

 

 

히스테리는 정신적 심리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과민증으로 보통 해석한다. 쉽게 말해 신경질을 낸다라고 하는데 신경질이 과하면 히스테리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남자와 여자만 두고서 신경질이라는 단어와 결합해보면 남자보다는 여자가 먼저 연상될 것이다. 그것은 태생적으로 여자에게 그런 요소가 더 많기 때문이다.

 

우선 히스테리에 대한 정의부터 살펴보자. 백과사전에 나온 히스테리의 정의다

 

 

 

[히스테리]

 

정신적 ·심리적 갈등 때문에 일어나는 정신신경증.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신경증 또는 심적 반응의 한 형을 말하는 경우와 정신병질 또는 이상성격의 한 형으로 쓰이는 경우로 크게 나눈다. 신경증의 한 형으로는 심적인 갈등의 해결을 수의운동(隨意運動) ·지각 ·의식의 장애나, 여러 가지 기관의 기능장애 등 가지각색의 신체적 증세를 일으키는 현상에서 전환하여 벗어남으로써 회피하려고 하는 메커니즘이 확실한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벗어나려는 의도는 물론, 때로는 심적 갈등 그 자체조차 환자 자신에게는 의식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쉽게 감지될 수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나중 경우는 그 유인으로서의 갈등체험과 이상반응과의 관련성이 확실한 점을 중요시한다면, K.야스퍼스 등이 말한 심인반응(心因反應)에 포함될 수도 있다.

 

 

히스테리성 증세는 옛날 히포크라테스와 그 학파가 기재하였고, 여성에게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자궁에 병인이 있다고 생각된 데서 자궁이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hystera를 따서 이름이 붙었다. 중세에는 마법이나 마귀에 의한다고 하였으나, 19세기 말부터 J.M.샤르코, P.M.F.자네, E.블로일러, S.프로이트 등의 연구에 의해 오늘날의 히스테리 개념이 확립되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히스테리 연구에서 시작하여, 히스테리를 비롯하여 신경증 일반에서의 심적 갈등의 역할을 중요시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또 히스테리적 메커니즘은 특정한 미성숙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서 일어나기 쉽다고 하는데, 반드시 그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E.크레치머의 “모든 사람은 많든 적든 히스테리적이다”라는 말은 유명하다.

 

 

히스테리라는 말이 정신병 또는 이상성격의 한 형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자기중심적으로, 항상 남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을 바라고, 오기가 있고, 감정의 기복이 심한 성격, 또는 현시성(顯示性)인 병적 성격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백과사전 정의]

 

 

 

 

 

 

 

위와 같이 히스테리는 여성의 자궁이라는 단어에서 생긴 말이다. 자궁에 어떤 변화가 생기거나 문제가 생기면 신경질을 유도하고 그것이 과민하면 히스테리성 질환을 유발한다. 보통은 외부적인 요건(남자, 환경, 생활, 음식, 스트레스)에 의해 히스테리가 생긴다고 생각하지만 그 외부적인 요건 역시 여자에게 가장 중요한 "자궁"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기 때문에 연관지어 볼 수 있다.

 

사춘기 소녀는 사춘기 소년보다 신경질이 더 많고 부모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많이 겪게 되는데 이것 역시 사춘기 성장시기에 자궁의 변화와 자궁의 성장등이 혈액과 신경세포들을 자극하여 히스테리성 과민 신경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사람이 아프면 신경질이 나기 쉽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얼굴, 가슴, 배, 팔, 다리가 아플때 보다 자궁과 관련한 신체기관이 아플 때 신경질이 극도로 높아지고 예민한 것을 알수 있는데 특히 생리통, 생리불순등과 관련하여 생각해 보면 여자는 물론 남자들도, 생리통으로 인한 여자의 신경질이 유독 눈에 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결국 신경질이라고 터부시하거나 히스테리라고 단정 짓는 것들의 대부분은 자궁과 관련한 신체변화에서 비롯된 여성의 대표 질환인 것이다.

 

 

신경질, 또는 과민성 히스테리가 남녀 카테고리가 아닌 성 카테고리에 있는 이유는 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성관계는 수축과 이완의 연속이다. 수축만 있어서도 안되고 이완만 있어서도 안된다. 배설을 할때 배설감을 느끼는 이유는 수축한 것이 이완되면서 배설되기 때문이다. 소변이나 대변을 볼때 힘을 주고(수축) 배설(이완)되면 탄식과 함께 안도의 한숨, 그리고 편안함을 느끼는 것도 바로 수축과 이완의 연속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수축을 하려면 뭐든지 수축하는 힘이 필요한데 남자나 여자나 공히 필요한 것은 혈액이다. 남자의 성기를 발기시키는 것 역시 혈액이며 여성의 자궁을 움직이게 하는 것 역시 혈액이다. 혈액이 모아졌다가 이완과 동시에 혈액이 빠져나가는 것이 순리다. 남자가 사정을 하고 발기가 사그라드는 것도 혈액이 빠져 나가기 때문이다.

 

 

남자는 대부분 수축과 이완이 99% 이루어진다. 발기가 되고 사정이 되면 모든 과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반면 여자들은 발동시기도 늦을 뿐더러 발동이 되어도 남자의 사정에 의해 미처 쾌감을 느끼지 못하고 마무리를 짓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수축과 이완을 하는 남자와 달리 여자는 수축은 되었는데 이완이 안된 상태에서 성관계가 끝난 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부부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결국 수축에 필요한 혈액들이 자궁에 모이게 되고 인위적으로 모인 혈액들은 인위적으로 급속도로 빠져 나가서 쾌감과 동시에 순리대로 순환을 해야 하는데 인위적으로 이완을 못해주었기 때문에 서시히 빠져나가게 되고 자궁환경에 인위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정상적인 범위에서 벗어나게 만든다. 보통 이럴 때 여자들은 몸이 무겁고 허리가 무겁고 자궁이 무겁다는 느낌을 갖는다. 뭉친 혈액들이 모여있기 때문이다.

 

 

반복의 결과에 의해 쌓인 혈액들은 계속 쌓이게 되고 순환계 이상은 물론 뭉쳐서 잘 빠지지 못한 혈액들은 썩게 된다 (의학적이 아닌 동양적 개념) 썩은 혈액들은 자궁에 머물게 되고 결국 자궁의 이상을 불러일으켜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자궁질환에 있어 여려명의 남자와 관계를 맺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라는 원인이 몇가지라도 나온 질환들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원인은 이런 자궁의 혈액순환에 근본이 있다고 봐야 한다. 앞서 말한대로 히스테리의 어원이 자궁에서 온 것처럼 여자들의 히스테리, 신경질은 자궁에서 출발하게 되는 것이다.

 

 

 

 

 

 

만족스러운 성관계를 갖는 여자들은 신경질이 거의 없고 신경질을 잘 내지 않는다. 신경질을 잘 내는 여자들의 특징 중 하나는 거의 대부분이 남편 또는 남자친구, 다른 남자들과의 잠자리에서 만족감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의 쾌감이나 오르가즘 없이 남자의 일방적 오르가즘에 머물면 여자의 자궁은 수축과 이완을 미처 하지 못해서 혈액순환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다.

 

 

청소년 시기의 어린 여성은 자궁의 성장과 변화에 의해 신경질이 대부분 발생하지만 자궁이 완성된 성인 여성의 신결질은 대부분이 성관계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내 여자가 내 마누라가 신경질을 많이 내는 성격이라면 잠자리 기술에 대해서 깊은 자아성찰과 반성을 가져야 한다. 쾌감도 쾌감이지만 근본적으로 내 여자의 건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잠자리 기술에 항상 만족하는 여자들은 신경질이 거의 없고 잠자리 기술에 늘 불만족스러운 여성들은 평소에도 신경질이 많다. 잠자리 기술이 일반 환경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잠자리 기술이 좋으면 아침 밥상이 달라진다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다. 인간의 원초적인 욕구가 완성되지 못하면 어떤것도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아무리 못난 사람도 아무리 못된 사람도 자기 여자를 잠자리에서 만족시켜주면 만사가 평화롭다. 그런 사람들을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왜 저런 사람을 만나지? 왜 저런 사람과 어울리지. 답답하네. 알수없네~ 하면서 지켜볼 뿐이지만 보이지 않는 잠자리 기술이 그 역활을 커버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오르가즘만 보지 말고 오르가즘을 주어야 내 여자의 건강도 챙길 수 있다라는 것도 명심하자.

 

 

 

 

[히스타민]

 

장내에서의 생리작용 조절과 신경전달물질로서의 작용뿐만 아니라 국소적인 면역반응에 관련된 생명활동에 필수불가결한 아민이다.  

화학식 C5H9N3. 분자량 111.145, 녹는점 83.5℃, 끓는점 209.5℃이다. 생체조직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부패균이나 장내세균에 의하여 단백질 속의 히스티딘에서 탈카복시에 의하여 생기는데, 조직 내에서는 조직단백질과 결합하여 비활성 상태에 있고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알레르기나 아나필락시스가 보일 때는 비활성형인 히스타민이 어떤 작용으로 활성형이 되어 장기(臟器)나 조직에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실제로 히스타민 중독과 알레르기 질환은 그 증세가 비슷하며, 히스타민에 대항하는 약항(藥抗) 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또 세균 외에도 외상이나 화상 등의 물리적 침입, 또는 여러 가지 독물에 의한 화학독 침입에 대해서도 히스타민이 유리된다.

 

 

체내에서의 작용은 약리적으로 복잡하고 불분명한 점도 많지만, 주요한 것은 ① 자궁 등 민무늬근의 수축작용, ② 소동맥이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는 순환계에 대한 작용, ③ 침샘·창자샘·눈물샘·이자의 분비 증대, 특히 위점막선의 분비 촉진작용의 세 가지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