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이름 작명 - 작명소에서 돈 주고 지은 이름들은 비슷하다? 이름도 유행이 판치는 세상
본문 바로가기
교육/훈육보육

아기 이름 작명 - 작명소에서 돈 주고 지은 이름들은 비슷하다? 이름도 유행이 판치는 세상

by 깨알석사 2015. 6. 2.
728x90
반응형

[2015/6/02 한겨레] 10월 출산 예정인 직장인 이아무개(33)씨는 아이 이름을 어떻게 지을지 벌써부터 고민이 많다. 작명소에서 지었다는 주변 아이들의 이름을 보면 서준, 서현, 서윤, 서우 등으로 ‘서’자 돌림이 많다. 중국 출장이 잦은 이씨의 남편 최아무개(34)씨는 “한국말을 할 줄 아는 중국인 친구가 ‘한국 아기들은 서울에서 태어나면 ‘서’자를 많이 쓰느냐’고 묻더라. 우리 아기 이름에는 ‘서’자를 넣지 않겠다”고 했다.

이름도 유행을 탄다. 그래서 특정 세대별로 그 안에서는 비슷한 이름이 많다. 50·60대 남성 이름에는 ‘환·덕·창’이 유난히 많이 쓰였다. 1980년대 초반에 아이(현재 30대)를 낳은 부모들은 ‘은·준·현·영’을 선호했다.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순한글 이름이 인기를 끌었다.

요즘 부모들은 ‘서·후·예·기·하’처럼 받침이 없거나 ‘윤·율’ 등 발음이 무겁지 않은 글자를 많이 고른다고 한다. 지난 4월 한달간 전국 법원에 접수된 ‘출생신고 이름 톱10’을 보면, 남녀를 합쳐 지우(366건), 서준(346건), 민준(344건), 서윤(323건), 도윤(280건), 서진(277건), 서연(273건), 하윤(269건), 하준(261건), 주원(257건) 순서였다.

보통 작명소는 아기 사주에 부족한 ‘오행’을 채워줄 수 있는 한자를 골라 3~5개의 이름을 지어준다고 한다. 이 중 부모가 마음에 드는 하나를 고르는데, 10만~20만원 정도의 작명비를 낸다.

작명소까지 가서 ‘특별한’ 이름을 짓는데 왜 같거나 비슷한 이름이 많을까. 결국은 부모들이 좋아할 만한 이름을 지어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10년 경력의 한 철학원 대표는 1일 “다들 흔하지 않은 이름을 원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지으려 한다. 하지만 부모들이 고르는 것은 결국 유행하는 이름이다. 아기 사주에 맞는 한자 중에 부모들이 좋아할 발음의 한자를 골라 만든 이름을 포함해야 재작명 요구가 없다”고 했다.


나는 작명소에서 아기 이름 짓는 사람들 보면 솔직히 아니지 싶다. 내가 주인이고 내 소유이면서 내가 가진 것이지만 내가 쓰는 경우보다 남이 주로 쓰는 유일한 내 것이 이름이다. 이름 그 자체는 나를 위한 것이기 보다는 나를 부르기 위한 남을 위한 것으로 짧게는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관계의 시발점이 된다.

물론 좋은 이름을 이름 잘 지어주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받는 것이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작명소에서 나오는 이름들이 기사에 나온 내용처럼 시대마다 패턴이 비슷하고 유행어처럼 유행 주기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오로지 아기의 사주에 근거하거나 좋은 일이 생기길 바라는 마음으로만 작명한다면 당연히 유행되는 판박이 이름들이 생길 수는 없다. 결국 사주가 뒤로 밀릴 수 밖에 없는 법,

내 것이면서도 내 것이 아닌 게 이름이라고 하였듯, 평생 죽을 때까지 나와 함께 하고 항상 나와 붙어 있음에도 내가 만들거나 내가 짓지 않는것도 이름이다. 즉 부모가 만들어서 선물해 주는 것이 이름인데 이 선물이라는 건 당시에만 의미하는게 아니라 그 사람의 전 생애를 함께 하기에 좋은 이름을 짓었다고 해서 끝이 결코 아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주는 첫 번째 선물이 이름이라면 이 선물이 주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한 것인지 받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야 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선물에서 우리는 주는 사람보다는 받는 사람을 고려해서 선물을 고르고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받는 사람이 선물을 선물로 여기지 않고 의미를 갖지 않는다면 선물의 가치는 없다. 이름도 마찬가지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는 아기의 이름을 처음 지으면서 아기의 입장이 아닌 부모의 입장에서만 고르고 선택한다는 것이다. 유행 패턴을 가진다는 것 자체가 바로 그런 단적인 예다.

만약, 아이가 성장하여 아동이 되었을 때, 그리고 청소년이 되었을 때, 청년이 되었을 때, 성년으로 성장하였을 때 자신의 이름에 대해 고찰할 즈음 자신의 이름이 정말 좋은 의미와 좋은 기운으로 이름값 한다는 좋은 이름이라고 하지만 돈 주고 산 이름이라는 것과 큰 뜻이 없더라도 부모가 직접 고심하여 지어준 이름 중 무엇이 더 좋은가라는 질문에 열에 아홉은 무조건 이름의 뜻과 의미가 아무리 좋아도 돈 주고 산 이름 보다는 부모님이 직접, 또는 가족 친지가 직접 지어준 이름이 더 좋다고 할 것이다.

예전에는 보통 할아버지가 손주의 이름을 많이 지어주셨다. 지금은 할아버지가 손주 이름 짓겠다고 하면 며느리 인상부터 지푸려지고 심지어 아들도 싫어하는 내색을 내비친다. 이유는 뻔하다. 내가 낳은 아기인데 왜 내 아이 이름을 내 마음대로 짓지 못하고 더불어 내 뜻대로 하지 못하는가? 결국 자신 뜻대로 한다고 하는게 작명소를 찾는것이 전부인데도 말이다.

족보가 있고 가문이 존재하는 집들, 그리고 오랫동안 씨족 활동이 있는 집안은 돌림자라는 것이 확연히 존재하기 마련이다. 돌림자 문화가 확실하게 자리잡은 집안이 있고 그것을 무시하는 집안 (무시라고 하기 보다는 잘 모르거나 따를 필요성을 못 느끼는 현대적 인식도 포함) 이 있는데 돌림 문화가 있다면 돌림 문화를 우선적으로 쓰는게 당연히 좋다. 혈연관계를 이어주는 또 다른 띠가 성씨인데 성씨안에서 나의 위치는 물론 내 혈연들이 나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항상 주지시켜 주기 때문에 삶 자체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가족 모임을 할 때나 친지를 만날 때마다 나와 비슷한 돌림 이름을 쓰는 가족 형제들을 많이 만나고 볼 수록 내가 있고 가족이 있고 가문이 있다는 생동감을 항상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성과 씨를 합쳐 성씨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씨는 본, 또는 본가를 의미한다. 경주이씨, 경주김씨처럼 경주(본)가 씨를 뜻한다. 김가네 이가네~처럼 성만 부를때는 씨를 붙이지 않는 게 일반적이고 경주이씨, 밀양박씨처럼 본을 말할때는 본을 뜻하는 씨가 항상 붙는다. 물론 그 의미가 퇴색되어 낮춰 부르는 뉘앙스로 이씨~, 김씨~로 불리우는 게 요즘이다

한 집안의 서열이 같은 사촌형제들이 모두 돌림 형태의 이름을 쓰게 되면 사촌형제들간의 우애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으며 그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서도 그 이름이 주는 영향력은 사촌형제들의 우애에 계속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요즘에는 각개전투마냥 각 집안들이 분가하면 장땡이라고 서로 완전히 다른 이름을 각각 만들어 쓰게 되는데 그런 문화가 있는 집 일수록 나홀로 가족, 나몰라라 가족이 되기 쉽다.

그렇다고 돌림자가 꼭 좋을수는 없다. 때로는 발음 자체나 성에 따라 이름이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고 무엇보다 이름이 예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럴 때는 과감하게 돌림자를 포기하는 게 요즘인데 이 때는 돌림자를 포기하지 말고 가정에서 부르는 가족 이름과 사회에서 부르는 이름, 대외용(공식) 이름을 나누어 집 안에서만 쓰는 이름을 따로 갖게 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예전에는 이런 경우가 많아 호적상의 이름과 다른 이름으로 시골집에서 따로 불리우는 사람들이 종종 있었지만 요즘에는 이마저도 많이 없다. 이름이 둘로 나뉘면 불편하거니와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반대다. 혈연집단을 뭉치게 하고 사주를 좋게하는 좋은 이름과 대외적으로 부르기 쉽고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이름을 모두 가짐으로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갖는다는 쪽으로 봐야 더 정확하다.

개인적으로는 할아버지가 손주의 이름을 직접 지어주는 게 좋다고 본다. 격대교육마냥 자신도 자신의 아이가 아닌 아이의 아이인 손주의 이름을 자신이 지어주는 쪽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할아버지가 건강하시고 아이가 성장하는데 생애를 오랫동안 함께 한다면 더 좋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라면 아버지(아빠)가 직접 지어주는 게 최상이자 차선이다.

우리는 한자권에 사는 사람들이면서 고유 언어를 가진 민족이다. 문자인 한글이 있고 언어라는 말인 한국어가 있다. 이름이라는 것이 한자어로 되어 있으면서 한글로 표기하고 부르기에 괴리감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중국처럼 한자로 된 것을 한자 그대로 읽는 것과 다르다는 것이다. 그래서 순우리말로 된 이름이나 외래어를 쓰기도 하지만 한자를 기본 바탕으로 하고 한글을 덧 씌운다는 개념으로 생각해야지 부르기 쉽다고 한글의 개념만 강하게 생각하면 결코 좋은 이름이 아니다.

요셉이나 에스더처럼 특정 종교를 연상시키는 이름은 개인적으로 정말 비추다. 종교적 신념이 아무리 강해도 종교는 누구에게나 선택할 수 있는 자유다. 사람들이 말하는 종교의 자유처럼 모태신앙과 같은 선택권조차 주어지지 않은 종교적 선택은 북한의 주체사상과 사실 크게 다르지 않다. 아이가 종교를 선택해야 함에도 부모가 일방적으로 이름과 함께 종교까지 임의로 선택해 준 것으로 이것은 전적으로 아이의 인생 전반을 부모가 마음대로 휘두른 것과 다르지 않다. 더군다나 종교적 색채가 강한 이름은 타인에게 선입견을 줄 수 있어 더욱 좋지 않다. 종교를 가진 사람이 굉장히 많지만 직접 대놓고 말하거나 표식을 보여주지 않는 한 알수가 없는 게 보통인데 이름만으로도 그 사람의 종교를 알 수 있다면 가까운 사이가 아닌 일반적인 관계에서도 그 사람에 대한 좋은 인식, 나쁜 인식은 생길 수 밖에 없고 이런 점은 플러스가 될수도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어 굳이 좋은 방법은 아니다.

세레명이 따로 있는 것처럼 종교적 이름을 따로 둔다면 모를까 공인된 이름을 종교적 색채가 있는 것으로 쓰는 건 아이에게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작명소에서 받아오는 이름을 보면 한 개만 지어주지 않는다. 보통 여러개 지어주고 거기서 골라 쓰라고 하는데 작명을 하려면 그 가족도도 참고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받아 온 이름에는 이미 가족 중 한 사람이 쓰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 윗대 어르신이 쓰는 경우도 있어 집안 어르신과 동명이 되면 누구야~ 부르기 애매한 이름도 있을 수 밖에 없다. 애초에 좋은 이름이 될 수 없음에도 가족도를 모르기 때문에 그런 작명이 생기는 것이다. 그 아이의 6촌 이내 사람들 모두의 이름을 안 다음에 겹치지 않게 처음부터 작명하여 선별토록 해주어야 하는 게 작명소의 기본 작업이 아닐까 싶다. (돈주고 사는 이름인데 이 정도도 안 해주는게 참.....)

아기 이름과 관련해서 항상 안타깝게 생각하는 게 엄마들이 인터넷 까페에서 아기들 이름을 추천 받는 것이다. 사실 이런 패턴이 유행을 선도하기도 하지만 내 것이면서도 내 것이 아닌 것이 이름이고 그 아이의 평생을 함께 할 이름을 아무런 의미없이 인터넷에서 추천 받는다는 것이 과연 현명한 일인지, 생각이 있는 사람들의 행동인지 의심스럽다.

우리 아이의 작명에 어려움이 있다면 답은 간단하다. 아빠, 엄마의 입장이나 생각이 아니라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된다. 엄마와 아빠의 이름 중 한글자씩 따서 이름을 짓는다거나 어떤 현상이나 어떤 추억과 관련한 단어로 짓는것이 작명소에서 짓는 이름보다 훨씬 낫다. 연예인중에서 배우 문소리씨가 있는데 나는 이 분의 이름이 정말 좋은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본인이 밝힌 작명의 유래가 무척 마음에 드는데 아빠 성(문)과 엄마 성(이)을 따고 그 두 사람이 낳은 아이 (작은 아이) 라는 뜻으로 소가 들어가 문소리가 되었다고 본인이 밝힌 바 있다.

본인이 자신의 이름 유래에 대해 스토리가 되어 설명을 해줄 수 있듯이 또한 그런 스토리를 말할 때마다 아빠와 엄마가 연상되고 부르게 되듯이 이름 자체만으로도 부모를 떠올리게 되며 가족적인 의미를 보강해 주게 된다. 단순하게 성을 붙여 만든 이름이고 대단한 작명법은 아니지만 의미만큼은 그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최고의 작명이 아닌가 싶다. 아이를 여럿 둘 계획이라면 아이들 이름이 연결되게 처음부터 지어주는 것도 좋다. 세 쌍둥이 대한/민국/만세처럼 송일국씨의 아들 이름도 그런 부분에서는 높은 점수를 줄 수 밖에 없다. (당연히 이런 이름은 작명소에서 절대 안 나온다) 이 아이들은 이 이름만으로도 대인관계에서 여러가지 일들이 생기겠지만 무엇보다도 세 형제간에는 끊을 수 없는 이름의 연결고리가 생기기에 성장하고 나서도 우애가 남다를 수 밖에 없다. 

이름을 짓기 어렵다면 우리 아이가 커서 자신의 이름을 좋아하게 되고 이야기(스토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면 된다. 그게 제일 좋은 이름이다. 그냥 한자뜻만 읽어주고 무슨 뜻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하는 일반적인 이름들이 태반이다. 하지만 그 한자 해석말고는 스토리가 따로 없다. 스토리가 있는 이름과 스토리가 없는 이름, 이야기가 풍부할수록 이야기가 있는 이름일수록 좋은 이름이다. 사람은 얼굴대로 산다고 하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것도 알아두자 사람은 이름대로도 산다는 걸~

[건강/건강의료] - 아동복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환경호르몬 기준조차 없는 아동복 실태 현황

[국가/자주국방] - 대한민국 J-ROTC (주니어 사관 / 주니어 ROCT) 와 운영 학교 비교 및 설명

[교육/훈육보육] - 내 아이 낯선 사람 따라가지 않게 반복 학습으로 교육하는 방법 - 제복 인식 훈련

[교육/훈육보육] - 의무교육은 왜 중학교까지 일까? ( and 아동의 의무교육)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