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통역사

여진에게 동북 9성을 반환한 고려, 이해득실과 고려의 외교술

깨알석사 2016. 6. 30. 12:49
728x90
반응형

고려의 여진 2차 정벌로 인해 획든한 동북 9성, 하지만 고려는 여진과 2년 후 긴급 회담을 갖게 된다. 여진은 동북 9성 지역을 다시 돌려 달라고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고려는 어렵게 얻은 영토지만 여진에게 동북 9성을 돌려주기로 결심하게 되는데 왜 고려는 동북 9성을 쉽게 포기했는지, 그리고 동북 9성을 포기하게 됨으로 얻게 되는 또 다른 이득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이다.

동북 9성은 고려와 여진의 전쟁으로 승리를 거둔 고려가 획득한 영토다. 하지만 이내 동북 9성 반환을 놓고 고려와 여진은 팽팽하게 맞서게 된다. 2차 정벌로 대승을 이룬 고려이지만 여전히 동북 9성 일대에서는 여진족의 잔당 세력이 고려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었고 여진은 화친 조건으로 동북 9성을 반환해 줄 것을 요청하게 되는데 계속되는 전쟁이 부담스러웠던 고려의 조정은 깊은 고민에 빠지게 된다.

고려 본토와 거리가 너무 멀고 원래 여진의 땅이면서 관리가 힘들 뿐더러 계속되는 전투로 인해 동북 9성 땅은 황폐화 된 땅이 되었고 그 지역의 백성들 본래 여진족인지라 지속된 전투로 인한 궁핍한 생활고 때문에 고려에 대한 감정이 좋지 못했다. 더군다나 전쟁으로 인해 생계를 꾸릴 수 없는 백성들의 원성도 끊이지 않는 상태였다. 

고려 조정에서도 여진의 반환 요청 이후 동북 9성을 돌려주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하는데 결국 고려는 여진의 화친 조건을 받아들여 동북 9성을 원래 여진에게 다시 돌려주게 된다.

보이는 겉면만 보면 힘들게 얻은 영토를 쉽게 돌려준 것처럼 보이지만 이 과정에서 고려는 잃은 것보다 얻은 것이 더 많은 외교적 이득을 가지게 된다.

여진의 화친 조건에 따라 결국 고려는 동북 9성 일대를 여진에게 다시 돌려주기로 한다.

여진은 고려인들이 동북 9성에서 떠날 때 공격하지 않기로 합의하며 자손 대대로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모시고 조공을 바칠 것을 조약한다. 기왓조각 하나라도 고려 쪽으로는 던지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고 고려와 여진은 동북 9성 반환 협상을 마무리 짓게 된다.

너무 쉽게 돌려준 동북 9성, 고려 조정에서도 돌려주자는 찬성 의견이 더 많았는데 이유는 뭘까? 그건 동북 9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원래 여진족의 거주지였던 동북 9성은 동북 9성을 끝까지 되찾기 위해 남은 여진족들이 끝까지 대항을 하던 곳이었는데 기근에 전염병까지 겹쳐 안과 밖으로 백성들의 원망이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다.

애초에 이 동북 9성은 개척 초기부터 불거졌던 문제로 땅이 넓어 보급이 어려웠고 관리를 제대로 할 수가 없어 계륵 같은 처지가 될 상황이었다. 마침 여진이 반환 조건으로 여러가지 안을 제시하고 있었고 고려는 겉으로는 불만을 표시하며 받아들이는 식으로 그들의 제안을 들어주면 부속국가를 둔 황제국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세도 결코 나쁜 결과는 아니게 된다. 울고 싶을 때 뺨 때려준다라는 말과 비슷한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다. 

동북 9성을 지켜내지 못하고 돌려준 것에 대해 아쉽다는 생각을 더 많이 갖게 되는데 실상은 조금 다르다. 여진이 동북 9성 반환을 요구하던 당시 실상을 보면 고려의 상황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크다. 국력을 총동원하여 출정한 여진 2차 정벌은 성공했으나 이후 2년 동안 동북 9성을 고려 땅으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북 9성 일대의 게릴라식의 전투에서는 계속 고려가 패배하고 있었고 이미 그 지역에서는 연이은 패배로 인해 지속적인 싸움이 어려웠으며 그 자체가 고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던 시점이었다.

고려의 예종은 계속된 패배로 현실적으로 그 지역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며 동북 9성 반환 문제를 놓고 신하들과 의논을 여러번 한 예종은 신하들 입장이 서른명의 대신 중 찬성 28명, 반대 2명으로 반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맞다는 의견이 우세한지라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봐야 한다.

이후 시간을 가지며 상황을 조금 더 주시하고 있던 예종에게 여진의 사신이 다시 찾아와 애걸하자 다시 논의를 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고려에게 불리하다는 의식이 강해지면서 대신들의 의견도 찬성 30명으로 전원 찬성표가 나오고 결국 예종은 동북 9성을 돌려주라고 하게 된다.

다만 동북 9성을 개척한 일등공신 윤관은 이 일로 오히려 명분 없는 전쟁을 일으켰고 패배를 거듭해 나라에 피해를 입혔다는 이유로 탄핵을 당하게 되고 예종은 거듭되는 탄핵 요청에 결국 아끼던 공신 윤관을 파직시킨다.

하지만 예종은 처음 대신들의 탄핵 요청을 어쩔 수 없이 들어주지만 결국 윤관이 한 일은 결코 잘못된 일이 아니라고 판단해 얼마 지나지 않아 윤관을 다시 복직시킨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복직 5개월만에 일등공신 대접을 받다가 탄핵당한 수모를 겪은 윤관은 세상을 떠나게 된다.

고려의 국력을 총동원하고 어렵게 영토까지 얻은 정벌의 결과치고는 그 내용이 허망한데 하지만 동북 9성을 돌려주었다고 해서 고려가 손해를 크게 본 것은 절대 아니었다. 일단 반환 조건으로 고려가 얻게 된 가장 큰 성과는 여진이 자손 대대로 고려에 조공할 것을 맹세했고 여진은 고려를 모시는 속국, 고려는 속국을 가진 진정한 황제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명분과 조건, 기반이 갖추어지게 되었으며 명실공히 황제국으로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여진은 동북 9성을 돌려주는 조건으로 고려를 절대로 공격하지 않을 것을 맹세했는데 이는 미래에 큰 든든한 버팀목이 된다. 계속 세력을 키워 나가던 여진은 결국 1115년 금나라를 건국하게 되고 요나라를 정벌하며, 송나라까지 정복하는 중국 대륙의 어마어마한 국가로 거듭나게 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여진(금나라)은 고려를 절대로 공격하거나 영토를 침범하지 않았는데 동북 9성 반환을 잊지 않고 끝까지 약속을 지켰으며 결과적으로 고려보다 더 강한 나라가 되었을 때도 과거 고려가 동북 9성을 돌려준 것을 감사하게 여기고 잊지 않으며 고려에게 대적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당시의 처신이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시켜 준 계기가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이후 고려는 실질적인 성과도 얻게 되는데 고려와 거란 사이에서 문제가 되었던 신의주 지역 (당시에는 보주)에 대해 금나라(여진)가 대륙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보주 지역도 가지게 된다. 여진(금)은 이곳이 고려와 거란의 영토 분쟁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보주 영유권을 고려에게 양도해 고려가 보주(신의주)를 100% 안전하게 점유하게 도와주게 된다. 

결국 고려가 압록강 이남을 온전히 확보할 수 있었던 계기는 동북 9성의 반환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대륙의 통일전쟁 속에서도 고려는 외세 침략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발전할 수 있게 된 계기도 마찬가지다. 당시로서는 빼앗은 영토를 다시 내어준 것이 손해라고 보았지만 결과적으로는 얻은게 더 많은 합리적인 협상이었던 셈이다.

외교술이 뛰어나기로 소문난 고려가 무력을 먼저 사용한 것은 고려답지 않다는 최태성 교사의 말이 일리가 있다. 동북 9성만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외교 협상이라는 테이블 때문에 이후 여러가지 잇점이 생기는데 이전에 무력으로 그 동북 9성을 얻었을 때는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더 많았다. (백성의 원망, 기근, 수많은 전사자와 국력 손실), 물론 외교가 뒷받침 되는 무력, 무력이 뒷받침 되는 외교술이 고려의 장점이기도 하고 둘이 떼어 놓고 볼 수 없는 물리적인 관계지만 한반도 땅의 후대 국가인 대한민국에서도 되새겨 볼 만한 내용이다. 

동북 9성의 반환과 상관없이 그것을 계기로 조선 세종 때도 6진이 두만강 일대를 개척하게 되고 결국 한반도의 영토를 확립시킴으로 동북 9성은 우리에게 상당히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